처음부터 마을에서 제작한 작품이 아니며 어디에서 옮겨온 것인지 알려져 있지 않다. 원래는 화강암의 석불상이었으나 여러 차례 보수가 이뤄지면서 얼굴과 신체의 원형을 알아보기 어려운 상태이다. 신체에 비해 머리가 크고 어깨는 좁으며, 양팔을 몸에 붙여 단순화하면서 손이 작은 편이다. 그리고 간략하게 처리한 옷 주름 표현 등에서 기술이 세련되지 못한 지방 장인에 의해 제작된 작품으로 추정된다.

광배(光背 ; 붓다의 몸에서 나오는 성스러운 빛을 형상화한 것)는 남아 있지 않으며 머리에는 아담한 육계(상투 모양의 머리묶음)가 솟아 있다. 육계 정상에는 원형의 계주(머리를 장식한 보석)를 뒀고, 머리 중간에는 반달형의 계주를 뒀다. 얼굴은 장방형으로 긴데, 이마가 넓고 크다. 비교적 작은 눈은 수평으로 표현됐고, 삼각형의 코는 두툼한 편이다. 인중이 볼록하고 입도 큰 편이다. 귀는 어깨까지 닿을 정도로 길다. 목에는 삼도(三道 ; 붓다의 지혜를 상징하는 세 줄의 주름)가 표현됐다. 양 어깨에 걸쳐 입은 옷에는 가슴에서 배에까지 굵고 완만한 반원형 주름이 흘러내리고 있다. 양손은 배에 모아 왼손바닥 위에 오른손을 올리고 양손의 엄지를 맞댄 선정인(禪定印 ; 명상에 들어 있는 붓다의 고요한 상태를 상징)의 손 모양을 취하고 있다. 조화롭지 않은 신체 비례에 도식적으로 간략하게 처리한 옷 주름 등에서 거칠고 투박한 기법이 보이는데, 이러한 특징으로 조선 후기의 불상으로 보기도 하나 제작 시기를 특정하기 어렵다.

자료=광주시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