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중부일보DB
사진=중부일보DB

과일값의 계속된 고공행진에 식료품 물가가 1년 전보다 6%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12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에 따르면 지난달 식료품 물가는 1년 전보다 6.0% 상승해 전체 소비자물가 상승 폭(2.8%) 보다 2배 이상 오른 것으로 조사됐다.

식료품 물가의 상승세는 둔화하고 있지만 속도가 느린 탓에 넉 달째 6%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2%)보다 0.4%p 하락했지만 식료품 물가는 0.1%p 떨어지는 데 그쳤다.

식료품 물가는 사과·배 등 과일 물가가 26.9%나 오른 영향을 받았다. 지난달 과일물가 상승폭은 2011년 1월(31.2%) 이후 가장 컸다. 전체 물가상승률(2.8%)에 대한 과일 물가 기여도도 0.4%p로 2011년 1월 이후 가장 높았다.

과일 외 다른 먹거리 물가도 높다. 우유·치즈·계란(4.9%), 채소·해조(8.1%), 과자·빙과류·당류(5.8%) 등도 지난달 전체 물가상승률보다 많이 올랐다.

먹거리 물가가 높은 상황에서 최근 국제 유가의 불확실성도 커지면서 물가 상승을 압박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배럴당 77.3달러까지 떨어진 두바이유 가격은 최근 친이란 무장세력의 요르단 미군 기지 공격 등 중동 지역 불안이 커지면서 82.4달러까지 반등했다.

지난달 소비자물가가 6개월 만에 2%대로 떨어졌음에도 한국은행과 기획재정부가 물가 공표 직후 일제히 물가 반등 가능성을 공식화한 것도 이같은 배경이 작용한 것으로 풀이된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지난 2일 "2∼3월 물가는 다시 3% 내외로 상승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예상했고, 김웅 한국은행 부총재보도 같은 날 "당분간 물가 둔화 흐름이 주춤해지면서 일시적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다소 오를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유류세 인하 조치를 무기한 연장할 수 없다는 점도 물가에 부담 요인이다.

정부는 고유가 등을 이유로 2022년에 이어 지난해에도 유류세 인하 조치를 2·4개월 단위로 연장해왔다. 오는 29일 종료되는 유류세 인하 조치도 유가 불확실성 탓에 한시적으로 연장될 가능성이 크다.

코로나19 엔데믹 전환 이후 누적된 물가 부담은 민간 소비·투자를 옭매는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고 있다.

주원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전망실장은 "신선식품 등 물가가 충분히 떨어지지 않아 체감 물가는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임창희기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