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신도시는 기본적으로 ‘자족도시’를 지향한다. 자족도시는 그 도시 주민이 필요한 모든 것을 스스로 충족할 수 있는 도시를 뜻한다. 좋은 일자리는 물론 교육과 문화, 생활 편의시설 등의 자족 기능을 갖춰야 한다. 일하러, 여가를 즐기러, 공부하거나 큰 병을 고치러 서울로 가지 않아도 되는 도시가 바로 자족도시다.

필자의 지역구인 인천 계양구는 1990년대 계산택지지구 조성을 기점으로 성장한 지역이다. 서울로의 접근성이 매우 뛰어난 덕분에 인구가 꾸준히 늘어났다. 하지만 주거 이외의 자족 기능을 충분히 갖추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북구에서 함께 나누어져 나온 부평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많은 지원을 받지 못했다. 구 전체 면적의 47%가 개발제한구역으로 묶여 있기도 하다. 이는 계양구의 더 큰 도약을 가로막는 걸림돌이자, 계양구가 인천의 다른 지역보다 소외되는 원인으로 작용해 왔다.

그러던 중 2018년 9월 박촌동·귤현동 일대 계양테크노밸리가 3기 신도시 계획에 포함됐다. 333만 3천㎡ 규모에 청년층을 위한 공공주택 9천 가구를 포함한 약 1만 7천여 가구의 주택이 공급될 예정이다. 약 76만㎡ 규모의 도시첨단산업단지도 조성된다고 한다. 특히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기업들이 들어설 도시첨단산단은 양질의 일자리와 정주 여건을 갖춘 자족도시의 중심지가 될 전망이다. 이는 과거 1·2기 신도시 중 가장 성공한 사례로 꼽히는 경기 판교신도시를 모델로 삼은 것으로 보인다. 판교신도시는 판교테크노밸리를 중심으로 정보통신 산업 집적화를 통해 도시 경쟁력과 자족 기능을 확보한 바 있다.

약 30년 만에 확정된 3기 신도시 계획은 계양구민들에게 지역발전의 전기(轉機)가 될 것이라는 기대감을 선사했다. 그런데 자족도시 계양테크노밸리의 완성에 발목을 잡는 요인들이 있어 심히 우려된다.

먼저 도시첨단산단 지정이 늦어지고 있다. 계양구는 현재 수도권정비계획법상 과밀억제구역으로, 산단을 새로 지정하려면 인천시 내에서 그만큼의 기존 공업지역을 없애야 한다는 것이 국토교통부의 입장이다. 관내에서 해제할 수 있는 공업지역은 내항 1·8부두 일대와 용현·학익동 일대뿐인데, 이곳들은 재개발 사업 등에 묶여 당분간은 해제가 어렵다. 인천시는 계양테크노밸리 도시첨단산단 지정을 먼저 받고, 이후에 기존 공업지역을 줄여나가겠다고 국토부에 제안했지만 거절당했다고 한다. 벌써 국가 첨단 산단에 입주를 문의하는 대기업이 줄을 잇고 있는데, 국토부의 행정은 이를 뒷받침하지 못하는 모양새다.

광역교통망 확충 문제도 시급하다. 계양테크노밸리는 3기 신도시 중 유일하게 철도 노선이 없다. 그런데 계양테크노밸리를 위한 광역교통수단으로 제시된 것은 S-BRT 노선이다. 사실상 버스 중앙차로에 불과한 S-BRT는 배차 간격이 길고 수송 능력도 떨어진다. 정시성도 부족해 신도시에 적합한 교통수단이 아니다. 무엇보다 지역주민들이 철도망 연결을 원하고 있다. 과부하가 걸린 계양역의 교통 수요를 분산하고 계양구의 기존 원도심과 계양테크노밸리를 동시에 살리려면 대장·홍대선의 박촌역 연장과 서울지하철 9호선의 계양테크노밸리 연장이 반드시 이뤄져야 한다.

제22대 국회의원선거를 앞두고 계양구에 출마한 후보들도 계양테크노밸리의 성공적인 개발을 약속하며 관련 공약을 전면에 내걸고 있는데 실력과 능력을 갖춘 후보가 국회의원에 당선돼 자족도시 계양테크노밸리의 완성과 함께 계양구의 새로운 전성기를 열어가길 기대한다.

문세종 인천광역시의회 의원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