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내 화장율이 지난해 말로 80%를 넘어섰다. 도민들의 장묘문화 인식이 서서히 매장에서 화장으로 바뀌며 생긴 현상이다. 그러나 지난 10년간 1.6배 늘었다고는 해도 증가율은 너무 부족하기만 하다. 물론 이러한 수치가 전국의 평균 화장률 74%보다 6%p 높다지만 이 정도 가지고는 진정한 장묘문화를 논하기 어렵다는 생각이다. 그런데 주의해서 살필 점은 도시와 농촌지역간의 적지 않은 차이가 있다는 것이다. 동두천이 86.8%, 의정부 84.7%, 수원시 84.3%, 시흥시 84.2%, 성남 83.1% 등 도시지역의 화장률이 높았고 가평군 63.4%, 여주시 64.7%, 연천군 76.7%, 양평 70.7% 등 농촌지역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속단하기는 어려워도 화장문화에 대한 홍보나 시설이 가까운 점도 한 몫 거들었다는 판단이다.

알다시피 우리의 산림은 비뚤어진 장묘문화에 나날이 훼손되고 있는지 오래다. 장묘문화가 바뀌어야 국토가 숨을 쉴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수목장등 여러 장묘문화가 다양화 되고 있고 최근에는 화장을 해서 바다에 뿌리는 장묘도 유행이다. 어찌보면 가장 바람직한 장묘문화다. 태운 뼛가루를 묻어본들 무엇하겠는가. 다른 비판적인 시각은 또 다른 소비적 행태만 촉발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바다에 뿌리든지 아니면 육지 적당한 곳에 수목장을 하는등의 방법을 더 한층 개발해 나가야 하는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또한 이런 장묘문화에 여론 주도층이 앞장서야 함은 물론이다. 우리 주위에 아직도 대기업의 가족묘지 조성등으로 잘려나가는 수목들의 소식이 전해지고 있다. 굳이 대기업이 아니라도 사회를 이끌어 가는 지도층의 솔선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근 이런 화장률이 늘면서 화장수요를 충족하기 위한 시설도 늘고 있는 점은 바람직한 현상이다. 그간 도내 수원시 연화장과 성남시 영생관리사업소 두 곳에서만 운영되던 화장시설이 2012년 12월 용인 ‘평온의 숲’이 완공되며 경기도 화장능력이 3만5천4구에서 4만9천640구로 커진 것도 화장율을 높이는데 좋은 결과로 작용했을 일이다. 일단 장례를 치러야 하는 상황에 여기저기 원정화장을 하는 일부터 없어야 하겠다. 통계에 의하면 연간 4천∼7천여구를 처리하지 못해 서울이나 인천, 충남 등 다른 지자체로 원정화장을 하는 일도 크게 줄었다는 소식은 도내 장묘문화에 희소식으로 작용할 수 있다. 그렇지 않아도 부천, 안양, 평택, 과천 등 10개 시·군 공동 화장시설이 4년 후면 화성시 매송면에 들어설 계획도 있다.

그러나 화장로는 전국적으로 턱없이 부족하기만 하다. 그래서 이제쯤 이면 뭔가 정부나 지자체에서 특단의 결정을 내려야 할 때가 온 것으로 믿고 있다. 그 이유는 점점 포화상태로 치닫는 수요에 지자체가 보유하고 있는 시설이 한정되어 있기 때문이다. 한마디로 수요와 공급이 맞지 않아 벌어지는 상황이 계속되면서 주민들의 불편만 가중되고 있다. 죽어서까지 줄을 서야 하는 이 기막힌 현실을 언제까지 두고만 볼 수 없지만 알다시피 화장로의 건설은 주민기피시설로 된 지 오래여서 지자체마다 눈치만 보고 있는 실정이다. 뻔한 사정을 방치하고 있는 정부의 입장도 딱하지만 정작 일선에서 행정을 맡고 있는 지자체로서는 법 개정이나 여러 가지 문제에 부딪혀 쉽지 만도 않은 형평이다. 그렇다면 뭔가 대책을 내놔야 하지 않겠는가. 장례식장의 위치와 사정에 따라 화장로를 승인해 주는 결단도 지금 쯤이면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