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청 광교신청사 이전 논란 이렇게 풀자]
전진과 후퇴 기로에 선 경기도 랜드마크 上

   
▲ 2013년 25층 규모로 설계 변경된 경기도청 광교 신청사 조감도. 중부일보DB

31일 오후 수원 여성비전센터에서는 ‘놀라운 경기도청 창의대회’가 열렸다.

경기도청 광교신청사 설계 변경을 위한 마지막 단계로, 지난 3개월간 각계 전문가와 시민 등이 낸 의견이 반영된 설계 컨셉을 듣는 자리였다.

경기도가 구글 오피스처럼 혁신적이고 창의적인 청사를 짓겠다며 지난 1월부터 시작한 의견 수렴과정이 사실상 마무리됐지만 광교신청사의 밑그림은 당분간 나오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설계 변경 작업 막바지에 경기도의회발(發) ‘빚 잔치’ 논란이 불거진데다, 일각에서 ‘호화청사’라는 비판까지 제기하고 있는 것이 원인이다.

정치 문제로 변화될 조짐까지 보이고 있는 광교신청사는 전진과 후퇴의 기로에 선 모양새다.

광교신청사 이전 논란의 핵심은 이전비용 마련 방식이다.

경기도는 신청사 건립재원 4천143억원 가운데 건축비 2천716억원을 지방채를 발행한 뒤 공유재산 21건을 오는 2027년까지 매각해 충당하겠다는 재원방안 대책을 발표했다.

건설 비용 선(先)조달후(後)상환 방식에 제동을 건 곳은 경기도의회다.

도의회는 “빚을 내서 청사를 지을 수 없다”는 이유로 지방채로 조달하려던 올해 공사비 210억원중 160억원을 삭감하고, 50억원만 일반회계에 승인해줬다.

도의회 전체가 지방채 발행에 반대하는 것은 아니지만, 신청사를 지어 이전하겠다는 약속을 지켜야 할 경기도로선 가장 부담스러운 부분이다.

경기도 관계자는 “지방채 발행이 한정된 재정을 가장 효율적으로 운영해 청사를 짓는 방식인데, ‘빚 잔치’를 벌인다고 낙인을 찍어버리면 그때부터는 이성적인 설명이 안된다”면서 “자체 예산을 투입할 여력은 충분하지만, 단기적으로 재정 집중현상이 벌어질수 있기 때문에 쉽사리 결정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다”고 말했다.

그렇다면, 광교신청사 재원조달 방식을 결정지을 가능성이 높은 경기도 재정전략회의 위원들의 생각은 어떨까? 도(道)재정전략회의는 경기연정의 결과물로, 경기도 재정전반에 관한 사항을 다루는 컨트롤타워 역할이 주어진 민관정 합동기구다.

중부일보가 도(道)재정전략회의 위원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 조사를 벌인 결과, 8명중 7명이 지방채 발행 방법에 찬성했다. 위원 16명중 경기도청 소속 공무원 6명은 조사에서 제외했고, 새누리당 소속 도의원 2명은 해외 출장중이어서 연락이 닿지 않았다.

오완석·원미정·곽미숙 도의원과 이재은 경기대 교수, 이인재 한신대 교수, 이원희 한경대 교수, 박완기 수원경실련 사무처장 7명이 찬성했다. 이재준 도의원 1명만 반대했다.

이재은 교수는 “도청 이전은 주민들과의 약속인 만큼 지켜져야 하지만 도청 건립 비용의 큰 금액이 일시에 빠져나가는 것은 재정적으로 감당할 수 없을 것”이라며 “따라서 기간에 따라 도민들의 부담이 나눠지는 지방채 발행이 옳은 방법”이라고 말했다.

이정현·양진영기자/ljh@joongboo.com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