엠플러스는 2017년에 코스닥에 상장된 기업이다. 중소벤처기업부 산하 공공기관인 장애인기업종합지원센터에서 제공하는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하여 사업성공을 위한 마케팅 및 자금 등을 지원받았다. 2016년 현재 5천800여개의 기업이 이러한 창업보육센터에 입주하여 미래의 성공을 꿈꾸고 있다. 창업보육센터란 ‘창업의 성공가능성을 높이기 위하여 창업자나 예비창업자에게 시설장소를 제공하고 경영 및 기술분야에 대한 지원을 통하여 성공으로 이끄는 사업장’으로 정의할수 있다. 이러한 창업보육센터는 새로운 사업의 성공적인 개발을 위해 적절하고 통제된 조건을 유지시켜 주는 가장 기본적인 ‘창업 인프라’라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창업보육지원사업은 1991년 11월 창업기업 보육센터의 설립 및 업무운용 준칙의 고시로 법적 근거가 마련되었다. 이후 1993년 3월 설립된 (주)중부산업 컨설팅의 영동창업보육센터가 우리나라에서 처음인 동시에 최초의 민간 창업보육센터로 운영을 시작하였다. 이어 연달아 중소기업청 지정 안산창업보육센터(사업자 중소기업진흥공단)가 1994년 1월로 개소했으며, 같은 해 1994년 6월 과학기술부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 현재 신기술창업지원단의 전신인 기술창업보육센터를 통해 TBI 사업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국내에서 창업보육사업이 본격적으로 확산되기 시작한 것은 지난 1996년 중소기업청 개청과 함께 1997년 외환위기를 겪은 이후부터라고 할 수 있다. 이는 외환위기를 계기로 전통산업 중심에서 지식 기반 산업 중심으로 경제구조를 전환시켜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고 또한 당시 심각한 실업사태로 고용 문제가 당면 과제로 부각되었기 때문이다.

짧은 기간 동안에 우리나라에서는 벤처 및 기술집약형 업종 중심의 창업 보육센터가 양적으로 급속한 성장을 이루어 왔다. 이러한 양적 확대에도 불구하고 부처 간 정책조정 기능 미흡에 따른 중복 지원, 공급자 위주 창업보육사업 추진, 사후관리 미흡 등으로 인해 한정된 재정의 효율적 활용이라는 측면에서 적지 않은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창업보육센터가 창업의 성공산실로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개선이 필요하다.

먼저 운영을 위한 재정의 안정성 확보와 자립화가 필요하다. 현재 중소벤처기업부의 지정을 받아 운영하는 창업보육센터는 280여개인데 대부분이 정부의 지원이 끊어지면 독자생존이 불가능한 거로 나타나고 있다. 창업기업의 성공부담금 제도를 더욱 활성화하여 운영자금의 독립화를 추구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창업보육의 국제 교류를 통한 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우리나라보다 앞서 창업보육을 제도화한 미국ㆍ이스라엘ㆍ독일 등의 성공적인 창업제도를 분석하여 정부의 창업 지원정책에 반영하고, 미국ㆍ유럽 등의 다양한 운영 시스템과 교육 프로그램 등을 국내 창업보육사업 실정과 비교하는 과정을 통해 창업보육사업의 개선과 변화를 꾀할 필요가 있다. 마지막으로 창업보육인력의 전문역량 강화가 필요하다. 현재 창업보육센터의 전담인력은 매니저라는 이름하에 평균 2명정도의 인원이 상근하면서 입주기업의 성공을 지원하고 있으나 이들의 전문성이 다소 미흡하여 충분한 입주기업의 인큐베이팅을 못하고 있다. 특히 창업보육센터가 5세대 모델로 전이하고 엑서러레이팅 기능을 더욱 강조하고 있는 상황에서 전문인력의 필요성은 더욱 커지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주력 산업분야의 저성장이 지속되고 있다. 4차산업혁명으로 대변되는 신기술분야의 창업은 경쟁국인 중국에 비하여 미흡하다. 창업보육센터는 이러한 4차산업혁명시대의 창업성공을 도모하고 고용을 창출하는 첨병이다. 창업보육센터의 보다 성공적인 변신을 기대한다.

김경환 성균관대학교 글로벌창업대학원 교수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