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카오 가맹계약 공세에 콜수 '뚝'…용인 등 일부 지자체 이미 상용화
카카오모빌리티 가맹계약 공세에 파열음이 났던 수원 지역 택시업계(중부일보 2020년 6월 28일 18·19면 보도 등)가 새 국면으로 접어들었다.
택시시장 독점 움직임이 보이는 카카오모빌리티에 대응하고자 수원시가 직접 택시호출앱 구축에 나서면서다.
그러나 앞서 자체 호출앱을 운영 중인 지자체 택시들도 카카오모빌리티 공세에 배기지 못하면서 실효성에 의문이 제기된다.
16일 수원시 등에 따르면 최근 시는 예산 1억500여만 원을 들여 택시호출 공공앱 개발에 나섰다. 사업 대상은 수원시 내 법인(일반)택시 1천570대(27개사)와 개인택시 3천133대다. 시는 현재 앱개발업체 입찰공고 중이다.
시가 직접 플랫폼 택시 사업에 뛰어든 것은 이른바 ‘그들만의 리그’에서 영업하던 수원시 택시가 지난해 7월께부터 균열 조짐을 보였기 때문이다.
일부 택시사업자가 카카오모빌리티 관계자와 따로 만남을 갖는 등 물밑 작업을 벌인 가운데 사태가 심각해지자 택시업계가 자체 호출앱을 개발해줄 것을 시에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이 지자체가 자체 호출앱 사업에 나선 것은 수원뿐만이 아니다. 용인과 김포, 성남에서는 이미 자체 호출앱을 사용 중이고 남양주와 하남에서는 보조금 사업으로 호출앱이 운영된다.
하지만 이들 지자체 호출앱 역시 코로나19 여파가 지속되면서 카카오모빌리티 공세에 고전하고 있다.
2016년부터 호출앱을 운영 중인 용인의 경우 지난해 5월 대다수 법인택시업체가 카카오모빌리티 가맹업체가 됐다. 자체 호출앱인 ‘용인앱택시’의 콜수(성공한 배차대수)도 카카오 가맹계약 이후 급감한 것으로 파악됐다.
카카오가맹택시(카카오T블루)는 다른 택시호출앱을 사용하면 안 되는 탓이다.
2019년 166만 건이던 용인앱택시 콜수는 지난해 66만 건으로 약 60%가 줄었다는 게 용인시의 설명이다.
코로나19 상황을 감안하더라도 감소폭이 크다.
수원시 관계자는 "수원시에 교통약자가 많다는 점을 고려해 장애인, 임산부 등 복지택시에 비중을 두고 개발할 예정"이라며 "카카오의 가맹수수료 탓에 택시호출앱에 대해 택시업계의 반응이 좋다. 1년 동안 시가 운영·관리하며 상황을 지켜볼 계획"이라고 말했다.
김희민기자
관련기사
- 콜 몰아주기 '경기도 vs 카카오T블루' 2라운드 경기도가 ‘카카오T블루 콜 몰아주기 의혹(중부일보 6월30일자 18·19면 보도)’이 일부 사실임을 밝히자 카카오모빌리티가 전면 반박에 나섰다. 도의 실태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공정거래위원회가 카카오모빌리티의 공정거래법(독점규제 및 공정거래에 관한 법률) 위반 여부를 검토하고 있는 가운데 가맹업체에서도 ‘콜 몰아주기’ 정황을 상당 부분 인정해 귀추가 주목된다.4일 카카오모빌리티와 경기도택시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용인, 성남, 안양 등 도내 14개 지역에 지난 8월 말 기준 카카오T블루(가맹택시) 1천926대가 달리고 있다.지난달 10일
- 카카오T 배차 콜 몰아주기 의혹 제기에…카카오 모빌리티 "사실 아냐" ‘경기도vs카카오?’경기도가 카카오T블루 택시 운행 이후 도내 일부 개인택시 배차 콜 수가 줄었다는 조사 결과를 발표하자(중부일보 9월 25일자 2면 보도) 카카오 모빌리티 측이 즉각 반박하고 나섰다.카카오 모빌리티는 지난 25일 입장문을 통해 "경기도가 카카오T 블루 도입으로 배차 콜 수가 30% 감소했다고 발표했으나, 회사 측에서 자체 조사한 결과로는 오히려 개인택시 기사당 콜 수가 40% 넘게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고 밝혔다.경기도는 전날인 24일 공식 보도자료를 통해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T 블루택시’
- 경기도 "도내 개인택시, 카카오T 운영 이후 배차 콜 30% 감소" 카카오모빌리티의 택시 어플리케이션인 ‘카카오T 블루택시’ 운영 이후 경기도 일부 지역서 개인택시의 배차 콜 건수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카카오T가 가맹수수료 수익을 위해 배차 콜을 자사택시에 몰아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된 가운데(중부일보 6월 28일자 18면 보도) 경기도가 실태조사에 나선 결과다.도는 카카오T블루 시행일 전 후 지역별로 편차는 있지만 콜 건수 감소 변화가 발생했다고 24일 밝혔다.도는 호출 서비스 시장의 독점력 남용에 대한 실태파악과 대응책 마련을 위해 지난 10~20일 도내 개인택시사업자 115명을 대상으로 실
- '결의' 다진 수원법인택시업계 27개 법인, 카카오 공세에 균열되나 이른바 ‘그들만의 리그’ 안에서 공고히 진입장벽을 쌓아 영업하던 수원시 법인택시업계가 카카오의 거센 공세에 무너질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났다.경기도 지역 곳곳에 카카오T블루’ 가맹업체를 늘리고 있는 카카오모빌리티가 수원시에도 손을 뻗기 시작하면서부터다.도내 11곳의 법인택시회사 대부분은 카카오모빌리티와 가맹계약을 맺어, 이미 도내엔 지역을 넘나들며 영업하는 카카오T블루가 1천400대에 달한다.그러나 1일 경기도택시운송사업조합에 따르면 ‘경기도의 수도’라 일컬어지는 수원시엔 카카오 가맹업체가 단 한 군데도 없다.시내 27개 법인택시
- "매출 20% 수수료 내라니"… 카카오T블루 가맹택시업체 갑질계약 불만 표출 카카오모빌리티가 새로 도입한 ‘카카오T블루’ 택시에 콜(호출)을 몰아주고 있다는 의혹(중부일보 29일자 18·19면)이 일고 있는 가운데 ‘카카오T블루’에 가입한 가맹택시업계도 ‘사실상 갑질’을 주장하며 불만을 표출하고 있다.30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가맹계약을 맺은 지역 법인택시업체에 ‘카카오T블루’의 한 달 운행 매출의 20%를 수수료로 받고 있다.카카오모빌리티 측은 해당 비용을 ‘카카오’ 브랜드 사용과 시스템 사용료 등이 포함된 비용이라고 설명하고 있지만 가맹택시업계에서는 한 달 운행 매출 20%를 수수료로
- 카카오, 가맹택시에 콜 몰아주기 의혹… '택시전쟁' 재연 조짐 카카오T 서비스로 상생의 길을 걷는 듯하던 택시업계와 카카오모빌리티가 또다시 ‘사회적 거리두기’를 하는 모양새다. 최근 카카오모빌리티가 자회사 KM솔루션과 함께 지역 택시가맹회사와 ‘카카오T블루’ 계약을 맺은 뒤, 택시업계 일각서 카카오T블루에 콜을 몰아주고 있다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서다.28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카카오T블루’란 카카오모빌리티와 계약을 맺은 가맹택시에 AI기반 배차 시스템과 응대 교육 등을 제공해 서비스의 품질을 높였다는 카카오의 브랜디드 택시다.현재 경기도엔 성남, 용인, 안양 등 11개 도시에서 1천40
- 수원서도 ‘카카오T블루’ 가입택시 탄생…또 다른 갈등 시작 모바일 콜택시 ‘카카오T블루’의 가입 여부를 놓고 갈등 양상(2020년 6월 28일 18·19면 보도 등)을 보여 온 수원 지역 택시 업계에서 결국 ‘카카오T블루’ 가입 택시가 탄생해 논란이 되고 있다.21일 카카오모빌리티에 따르면 카카오모빌리티는 수원 지역 개인택시 13대와 카카오T블루 가맹 계약을 맺고 지난달부터 운행 중이다.카카오T블루의 진입을 견고하게 막던 수원 지역 택시 업계의 벽이 뚫린 셈이다.수원시개인택시조합은 즉각 총회를 열어 이들을 조합에서 제명시키는 안건을 의결했으며, 이 안건을 경기도개인택시운송사업조합으로 넘길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