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두천시는 ‘국방벤처센터’ 유치를 놓고 지난 74년간 국가안보를 위해 희생해온 실질적인 보상이라며 경기북부 방위산업의 중심지로 도약하겠다고 다짐한다.
센터 유치 이후 내년 상반기 시작될 정부 대규모 국책사업인 방위산업혁신 클러스터 공모가 시작될 예정인 만큼 ‘안보의 도시’에서 ‘국방산업 혁신도시’로 전환하는 분기를 맞이했다는 입장이다.
9일 동두천시 등에 따르면 시는 국방벤처센터 유치 이후 클러스터 조성 시 그간 수십 년 동안 국가안보의 희생지였던 동두천시에 대한 실질적이고 합당한 보상이 마련된다는 설명이다.
이어 클러스터 조성 이후에도 국내 최대 군부대 밀집지역인 지역 특성을 살려 개발 중인 무기체계의 실증 및 피드백이 용이한 테스트베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지역 경쟁력이 있다고 강조한다.
센터 자체 유치에 있어서도 이미 입지가 확보돼 있고, 향후 지역 내 조성될 국가산업단지와의 연계를 도모할 구상이다.
이를 통해 경기 북부지역의 테스트베드 환경과 판교·성남 등 경기 남부권 R&D 역량 및 방위산업 관련 기업을 S형 벨트로 연결, AI를 기반으로 한 방위산업 고도화와 연구개발 기능 중심의 지역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해 민·관·군·학·연 거버넌스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박형덕 동두천시장 역시 방산혁신 클러스터 조성에 대해 “동두천은 지난 74년간 누적 25조 원이 넘는 경제적 손실을 감내해왔다”며 “미군기지 미반환 공여지의 70%가 몰려 있는 동두천의 희생만 강요돼선 안된다”고 지적하고 나선 상황이다.
박 시장은 “시 면적의 42%를 미군 공여지로 제공하며 재정자립도와 지역내 총생산이 경기도 최하위원에 머무른다”며 “이제 동두천은 더 이상 희생의 도시가 아니라 대한민국 자주국방을 선도하는 전략거점이 돼야 한다”고 클러스터 구축의 당위성을 강조했다.
동두천시 관계자는 “동두천은 방산 관련 기업은 아직 없지만, 국가산단을 통해 언제든 기업을 유치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며 “무엇보다 국가안보 희생지역에 대한 시민들의 공감대가 형성돼 있는 만큼 대학 등 관련 기관들의 도움도 어렵지 않게 받을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 [국방벤처센터 유치 각축전] 양주시, ‘두뇌와 심장’ 잇는 방산 혁신지로 <2>광역교통 허브 강점, 양주시‘방위산업혁신 클러스터’로 가는 발판이 되는 국방벤처센터 설립을 놓고 양주시가 광역교통 허브로서의 접근성과 지역 테크노밸리를 통한 첨단 국방산업 클러스터 구축의 강점을 강조하고 나섰다.특히 지역 내 다수의 군부대가 위치해 있는 만큼 실수요처인 군과의 연계를 통해 실용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7일 양주시 등에 따르면 양주시는 국군 최초이자 유일한 기동군단인 제7기동군단이 주둔하는 군사적 요충지로, 특히 군단의 작전 지속성을 보장하는 제7군수지원단 77정비대가 위치해 있다.K9 자주포와 K2 전
- [국방벤처센터 유치 각축전] 첨단 방위산업 전망 높은 의정부시 내년 상반기 예정된 ‘방위산업혁신 클러스터’ 공모를 앞두고 경기 북부 지역의 4개 기초자치단체가 국방벤처센터 공모에 도전장을 던졌다.재정자립도가 낮은 이들 시군이 클러스터 구축 등 센터 조성에 따른 부가효과를 노리며 각 지자체장까지 적극 유치에 나서는 모양새다.6일 중부일보 취재를 종합하면 지난달 경기도가 진행한 국방벤처센터 설립 후보지 공모 결과 의정부시, 양주시, 포천시, 동두천시 등 4개 지자체가 신청했다.이들 지자체가 센터 유치에 참여한 이유는 센터가 방산혁신 클러스터 조성 자격요건으로 작용하기 때문이다.공모 대상은 경기 북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