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천시 군폭탄 오발 사고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정식요청하겠다"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7일 포천시 이동면 노곡리에서 발생한 공군 전투기 폭탄 오발 사고 지역을 방문, 이같이 말했다.
이어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정부가) 규정 등을 따진다면 도에서도 강력하게 규탄하고 나설 것"이라며 특별재난지역 선포에 대한 의지를 밝혔다.
이날 오후 폭탄 오발현장에 도착한 김 지사는 군부대 성당을 시작으로 폭발사고 여파로 파손된 상수도를 거쳐 마을 곳곳을 돌며 피해 상황을 살폈다.
김 지사는 현장에서 "이재민 이주 및 긴급생활안정비 지급, 부상자들에 대한 치료비 지원 등을 신속히 이행, 어떻게든 주민들이 빨리 일상으로 돌아가실 수 있게 하라"고 당부했다. 또 "시비, 도비, 국비 따지지 말고 ‘주민 입장에 서서’ 선제적으로 피해복구를 지원하라"고 신속한 대처를 강조했다.
특히 김 지사는 "도가 실시할 계획인 주택 및 시설물 등의 정밀안전진단과 관련, "(피해가구 등에 국한하지 말고)안전진단을 전면적으로 실시하라"며 전수 안전진단을 지시했다.
현장을 돌아본 김 지사는 ‘노곡2리 경로당’에서 포천시로부터 피해 상황을 보고 받은 뒤 주민들과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주민들은 "이 지역 사람들은 폭탄 떨어지는 소리가 들리면 군에서 훈련을 하는구나 비행기가 뜨면 비행기가 지나가는 구나 하며 대수롭지 않은 의식을 갖고 살아왔다"며 "하지만 사고 당일은 비행기가 포탄을 쏘려는 자세를 취하는게 보였다. 이후 사고가 발생하자 군에서 찾아와 보상 등의 문제를 얘기했지만 보상보다는 이런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노력하는게 맞는다고 생각한다"고 토로했다.
또 안전 보장과 피해복구 등에 대해 논의한 뒤 특별재난지역 선포를 요청했다.
이에 김 지사는 "(중앙정부와 군 당국이)철저히 사고원인을 규명하고 조그마한 의혹도 남지 않도록 명명백백히 진상을 밝히도록 제가 단단히 얘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김 지사는 "정부가 혼란기에 있긴 하나 적어도 군 당국을 믿고 수습하는데 힘을 보태달라"고 주민들을 위로했다.
아울러 김 지사는 "이번 사고가 자연재난과는 달라 특별재난지역 선포요건이 안되더라도, 원인제공을 국가가 한 것 아니냐. 적극적으로 검토해달라"며 "규정 따지고 하면 우리가 강력하게 규탄하고 나설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 자리에 배석한 행안부 관계자는 "재난 특별지역 선포는 재해 등에 속하지만 전쟁터에서 쓰는 폭탄을 투하시켜서 폭격이 일어 났는데 이게 재난이 아니면 어떤게 재난이겠느냐"며 "기존의 기준과는 다르게라도 특별재난에 대한 선고를 해줘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김창학·이석중 기자
관련기사
- 오발사고 몸살 앓던 포천시민들 "대책 마련 때까지 군사훈련 중단해야" 수 년간 오발 사고로 몸살을 앓아왔던 포천시민들이 공군 폭탄 사고가 재발되자 불안감을 감추지 못하고 있다. 시민들은 사격 훈련 중단을 촉구하는 등 거센 항의를 이어가고 있어 군과의 갈등 양상이 더욱 커질 전망이다.6일 오전 포천시 승진과학화훈련장에서 진행된 공군 훈련 도중 발생한 전투기 오폭 사고와 관련해 포천시사격장 등 군 관련시설 범시민대책위원회는 "당장 관내 사격 훈련장 운영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대책위는 2013년 포천시 미8군 로드리게스 사격장(영평사격장) 오발 사고에 항의하고자 조직된 단체다. 로드리게스 사격장은 이사아
- 정부, '공군 오폭' 포천 특별재난지역 선포 정부가 공군 전투기 오폭 사고로 피해를 입은 포천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한다.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8일 공군 전투기에 의한 민가 오폭 사고와 관련, 포천의 피해 지역을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하겠다고 밝혔다.최 권한대행은 "공군의 오폭으로 인해 큰 피해를 입은 포천(피해)지역을 신속하게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해 피해복구와 주민지원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지시했다고 기재부가 전했다.특별재난지역 지정 절차는 이날 중으로 마무리될 것으로 보인다.이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같은 날 사회관계망서비스(SNS)를 통해



AI기자 요약봇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