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위 3D업종으로 분류되는 한국의 뿌리 산업은 만성적인 인력난에 허덕이고 있다. 저출산으로 인한 생산연령인구 부족과 고학력화에 따른 내국인의 구직 기피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하루가 급한 기업들은 이주 노동자를 고용해 빈자리를 메우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상당수 이주 노동자가 불법으로 취업을 하고 있는 현실이다 보니 이로 인한 문제도 만만치 않다. 중부일보는 4편의 기획보도를 통해 이주 노동자 유입이 가져오는 지역의 경제적 효과에 대해 살펴보고 이들에 대한 우리 사회의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을 짚어봤다. 특히 우리와 비슷한 문제를 안고 있지만 상이한 이주민 정책을 펴고 있는 대만의 사례를 살펴봄으로써 우리 이주민 정책의 방향을 제시하고자 한다. -편집자주

지난달 21일 취재진이 찾은 안산 반월국가산업단지 내 한 공장의 내부 모습. 이주 노동자들이 금속 도금 작업을 하고 있다. 이세용기자
지난달 21일 취재진이 찾은 안산 반월국가산업단지 내 한 공장의 내부 모습. 이주 노동자들이 금속 도금 작업을 하고 있다. 이세용기자

"이주 노동자 없이 뿌리 산업은 굴러가지 않아요."

안산 반월공단의 한 금속도금업체. 공장 입구에 지게차를 모는 한 근로자가 보였다. 얼핏 봐도 다른 피부색이었다. 따라가 보니 공장 안에 약 7~8명의 사람들이 금속 도금작업을 하고 있었다. 이들 모두 이주 노동자였고 관리자를 제외한 내국인은 1명에 불과했다. 공장 관계자는 "우리 공장에서 일하는 노동자 98%는 이주민"이라며 "내국인을 고용하기 힘든 3D 산업은 이들의 노동력에 대부분 기대고 있는 상황이다"라고 말했다.

 

반월공단 노동자 대부분 이주민

내국인 3D 산업 기피 탓 극소수

합법적 경제활동 외인 약 88만명

주로 비숙련 노동·제조업에 종사

"지역 제조업은 이주 노동자가 주류"

우리나라는 필리핀, 몽골, 태국 등 16개 아시아 국가와 인력 도입 양해각서를 맺고 이주 노동자를 수용하고 있다. 현재 국내에서 합법적으로 경제활동을 하는 외국인 수는 88만 명 정도로 추산되며, 이들 중 고용노동자는 84만 3천 명에 달한다.

이 중 고용허가제를 통해 입국한 비숙련 노동자(E-9비자) 수는 22만 9천476명(2023년 기준)으로, 대부분 제조업(18만5천234명)에서 근무하고 있다. 그 외 농축산업(2만7천515명), 어업(1만90명), 건설업(6천289명), 서비스업(348명) 등에 종사한다. 국가별로 따져보면 네팔이 4만1천여 명으로 가장 많고, 캄보디아(3만1천 명), 인도네시아(2만5천 명), 베트남(2만5천 명)이 순이다.

주목해야 할 점은 이들이 주로 근무하는 업종이다. 이주 노동자의 대부분은 산업의 뿌리라고 불리는 제조업에 종사하고 있다. 내국인이 중소 제조업 근무를 기피 하면서 이들이 사실상 제조업의 중심축으로 자리 잡은 것이다.

특히 경기·인천지역 이주 노동자 수는 9만1천536명으로 화성, 안산, 김포 등 대규모 공업단지가 위치한 곳에 집중돼 있다. 화성시의 경우 서부 지역엔 자동차 관련 기업이, 동부엔 전자제품 관련 기업들이 자리 잡고 있는데 이 지역에서 근무하는 이주 노동자 수는 1만7천253명 정도로 파악된다. 또 플라스틱, 금속 산업 등이 특화된 김포시의 경우 약 9천400여 명이 근무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안산 반월공단 입주기업 한 관계자는 "적어도 제조업에서는 이주민이 노동자의 주류"라며 "이주 노동자 없이는 기업을 운영할 수도 유지할 수도 없다"고 잘라 말했다.

이세용·이한빛·김도윤기자

※이 기사는 지역신문발전기금을 지원받았습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중부일보 - 경기·인천의 든든한 친구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